외노자 의사생활/경험담 130

불면증, 수면제/수면유도제를 더 이상 먹지 않아요

여, 40대. 원형탈모로 진료 받으러 왔다. 불면증이 있어서 수면제/수면유도제를 먹고 있다. 아이가 어려서 뒤척이면 잠을 쉽게 깨기도 한다. 탈모와 불면증. 잘 자야 몸의 회복이 된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피부병이든 탈모이든 많은 병/증상 들은 몸이 회복되는 것은 밤에 자는 동안 회복된다. 탕약을 처방해주었고 침 치료는 일주일에 한번. 머리카락이 다시 나는 것은 둘째치고 치료받은지 1~2달이 되어 다시는 수면제를 복용하지 않게 되었다. 여, 70대. 이롱, 청력저하로 진료를 받으러 왔다. 보청기를 끼고 있었지만 치료를 받으면서 보청기가 맞지 않았다. 청력이 좋아지니 보청기의 볼륨이 맞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보청기는 빼버렸다. 불면증이 있어서 수면제/수면유도제를 복용한다. 새벽에 깨면 다시 잠을 못이룬다..

만성신장염, 혈뇨 3+에서 1+ 로

여, 60대. 건강검진을 했는데 혈뇨가 나왔다. 3+, +++.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다. 현미경으로 봤을 때 한 시야에서 적혈구가 150개 이상 보이는 것이다. 탕약 먹고 침 맞고 3주가 지났다. 일주일에 한번씩 치료 받음. 다시 소변 검사해보자. 혈뇨가 1+ 로 줄었다. 아침 소변이 아니지만 그래도 많이 줄었다. 치료는 계속 한다. 음식은 계속 주의한다. 해산물 안돼. 응 안먹어. 소고기 양고기 조금만. 응 매운거 안돼. 응. 물 자주 마셔. 응

맥립종, 눈 아래, 눈꺼풀에 생기는 종기

여, 10세. 눈 아래가 부어서 왔다. 처음에 왔을 땐 아주 통통하게 부어있었다. 붉고 통증이 있다. 고름은 아직 생기지 않았고 이미 안과에서 준 항생제를 사용한 지 10일이 되었지만 여전히 부은 상태이다. 이런 경우는 고름이 생겨서 빠져나오는 것이 좋은데 항생제 때문에 고름이 안 생기고 있는 것 같다. 10일이 되었는데 그냥 부어있는 상태였다. 침을 놓아주었다. 발가락에 사혈을 하나 했다. 사혈을 하자 곧 붉은 것이 가라앉았다. 침을 놓아주었다. 점차 부은 것이 가라앉았지만 보호자에게 이야기했다. 고름이 나와야 끝난다. 그것도 완전히 나와야 낫는다. 항생제 때문에 고름이 생기지 않고 있는 것 같다. 항생제는 잠시 사용하지 않도록 했다. 그리고 뜸도 해주었다. 뜸은 손으로 해줘야 한다. 올려놓거나 하면 ..

코로나 이후, 땀이 줄줄, 월경이 사라짐, 조기폐경

여, 40대. 월경이 나오지 않은지 4~5개월 되었다. 이유를 물었다. 작년 12월에 코로나에 걸린 이후 땀이 많이 났다. 깨어있거나 잠을 잘때도 땀이 많았다. 땀이 많아서 너무 불편하다. 그리고 월경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 자기가 벌써 폐경인가? 묻는다. 아직도 땀이 많이 나는지 물었더니 그렇다고 한다. 汗血同源 땀과 혈은 근원이 같다. 땀이 그렇게 많이 나오면 월경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땀이 먼저 안나게 해야 월경이 다시 나올 것이다. 그리고 먼저 침을 맞아라. 침을 놔주었다. 땀을 멎게 해주는 침은 아니고 몸의 기를 통하게 해주는 것이다. 몸의 기가 통해야만 기가 머물지 않게 되고 기가 머물지 않으면 열热이 되지 않는다. 열이 되면 땀이 나게 되고 땀이 많이 나면 진액이 부족하고 진액이 부족하면..

코로나 이후 후유증: 소화불량, 위장장애,

코로나 이후 후유증으로 위장 장애가 생긴 사람들이 꽤 있다. 소화가 안되고 뭘 먹어도 더부룩 하고 대변도 시원찮고... 명치를 만져보면 단단하다. 명치에서 약간 아래, 위장의 일부가 매우 단단하다. 이럴 땐 침을 놓아준다. 명치에도 침을 놓는다. 사르르르~~ 수법. 여, 40대. 기침을 계속한다. 코로나 앓고 나서 기침이 계속 나고 역류성식도염도 있다. 평소 위평환으로 많이 도움을 받고 있다고 한다. 이번에는 위평환과 감기환으로 안되는 듯 하여 병원으로 왔다. 역시나.. 명치 부위가 단단하다. 기침 참지 마시고 편안하게 기침하세요. "기침 참으면 오히려 폐에 무리가 됩니다." 기침 참으면 시간이 오래되면 천식으로 갈 가능성도 있다. 참는 기침으로 인해 폐포가 커진다. 그러다보면 폐 기능이 떨어지고 천식이..

침치료가 추나/필라테스 보다 치료 효과가 빠르네요

여, 50대. 평소 일주일에 2~3회 정도 필라테스를 한다. 하지만 몸이 안좋은 것은 회복되지 않는다. 발목도 아픈지 6개월이 되었고 손목도 안좋고 오다리, 오짜형 다리라서 무릎도 붙지 않는다. 고관절도 좋지 않고 오십견도 있다. 나에게 치료 받기 시작한지 3개월. 발목은 좋아졌고 어느 순간 무릎도 붙기 시작했다. 고관절도 더 이상 아프지 않다. 손목도 좋아졌다. 나에겐 일주일에 1~2회 치료 받았다. 관절이 아픈 것은 1~2번 치료하면 나았다. 무릎이 붙지 않는 것은 1~2달 척추를 치료 후에 무릎이 붙고 다리가 일자로 바뀌었다. 고관절도 더 이상 아프지 않다. 필라테스를 그렇게 오래 했지만 침치료가 더 빠르단다. 손목이 아팠는데 침 2~3개 놓고 나아졌다. 몇번 치료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아픈 곳이..

2012년 스승님에게 침 놓다. 팔 어딘가 가려움. 2주. 사암침법

2012년 여름. 팽건중 선생님. 63세. 남자. 선생님과 환자를 보고 있는 중에... 선생님 팔에 붙은 파스를 보았다. 선생님 그 파스 왜 붙이셨냐고 물었다. 어디 다치신건 아닌가 걱정이 되서 물었는데 가려워서 붙였단다. 어딘지는 정확하게 모르겠는데 이상하게 마구 가려워서 긁다보니 딱지가 앉았단다. 긁어도 가려움이 해소 되지 않는단다. 니가 한번 침 놔봐라.. 하신다. 오른쪽 하박 부위에 가려움을 느끼신단다. 대장경이 흐르는 부위였다. 침을 놓으라고 하셨지만, 또 환자가 밀어 닥쳐서 잠시 일하고... 환자가 없을 때... 선생님께 물었다. 선생님 "诸痛痒(yang)疮皆属于心“ 맞죠? 痒(yang)이에요? 疡(yang)이에요? (사암침법에는 诸痛疮疡으로 되어있다) 쌤 왈 ; 痒 이다. 그럼 환자 보고 있..

맹장인가요? 이미 수술은 했습니다만, 복통

여, 40대. 오른쪽 아랫배가 아프다. 뭉근뭉근하게 아프다. 심할 땐 쥐어짜듯이 아프다. 사진을 보내왔다. 사진이 반대로 되어있어서 왼쪽인줄 알았는데 진료실에 오니 오른쪽이었다. 사진을 보고는 왼쪽 배인줄 알고 맹장을 제외시켰었는데 맹장을 포함해야 한다. 맹장 수술을 한 적이 있단다. 그렇다고 완전히 맹장을 배제할 수는 없다. 맹장 수술 후에도 만성 맹장염이 남는 사람들이 있다.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을 수 도 있고... 암튼 맹장 수술을 했거나 초음파로 맹장을 확인한 후에도 맹장에는 아무 문제가 없지만 오른쪽 아랫배가 아픈 경우가 있다. 왜 아프냐고? 모른다. 정확히는 모른다. 그러나 치료는 할 수 있다. 독맥을 치료하고 나서 바로 눕게 했다. 그 다음 배를 치료했다. 치료하고 나니 통증이 확실히 줄어들..

감히 애드빌을 이겨? 두통 + 코피

여, 30대. 두통이 심하다. 야근이 많았고 애드빌을 계속 복용했지만 두통이 사라지지 않았다. 자려고 누웠는데 코피가 나기 시작했고 양이 많았다. 왠만하면 진통제로 참아보려고 했는데 코피까지 나니 안되겠다 싶어서 병원에 왔단다. 두통이 심해서 깨질듯이 아프단다. 우선 침 치료해줬다. 그리고 탕약 처방 해줬다. 침치료하고 나서 두통은 좀 나아지는 듯 했다. 야간진료시간에 왔기 때문에 탕약은 다음날 나왔다. 탕약을 한번 복용하고 두통이 사라졌다. 환자는 생각했다. ’감히 중의학이 애드빌을 이겨?‘ 라고. 하루 복용했고 두통이 완전히 사라졌다. 설마.. 하면서 하루 더 복용했다. 일주일 처방해줬지만 이틀치 복용했고 남은 5일치는 안먹었단다. 6개월 후 다시 왔다. 환자가 말하기를, 그때 그랬단다. 감히 중의학..

노인 불면증+청력저하, 이젠 수면제를 복용하지 않음

여, 70대 후반. 청력저하로 치료를 받고 있는데 잠을 못 잔다. 수면제나 수면유도제를 먹어야 한다. 노인이 그것이 수면제인지 수면유도제인지 무슨 약인지 모르고 그냥 잠 안올때 먹는 약이기 때문에 나도 무슨 약인지 잘 모른다. 보청기를 끼고 있던 것도 이제 보청기를 끼지 않게 되었고 내 말 소리도 많이 작아져서 일반적인 성량으로 말하거나 오히려 더 작은 말소리로 말한다. 뭔가 잘 구분 못하는 것 같지만 그래도 들리고 있다. 요즘 잘 자는지 물었다. 새벽에 잠을 깬단다. 9시쯤 잠을 자고 새벽 4시쯤 잠을 깬다. 수면제를 복용하면 아침까지 잔다. 그러나 수면제를 복용하고 나면 오히려 더 피곤하다. 잠에서 깨고 나서 취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어떤 수면제들은 이런 부작용이 있다. 잠을 잤지만 전혀 잠들지 ..